바이비트 선물거래 방법 | 7가지 수수료 절약 노하우 | 효율적인 숏 진입 전략

바이비트 선물거래 방법 | 수수료 | 숏치는 법

오늘 모바일네이트 블로그에서는 바이비트 선물거래 방법, 수수료, 숏치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바이비트는 글로벌 거래량 상위권을 차지하는 인기 거래소로, 특히 선물거래 플랫폼으로서 많은 트레이더들의 선택을 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바이비트에서 선물거래를 시작하는 기본 방법부터, 수수료를 최대한 절약하는 팁, 그리고 많은 초보자들이 어려워하는 숏 포지션 진입(숏치기) 방법까지 단계별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암호화폐 시장은 24시간 움직이기 때문에, 상승장뿐만 아니라 하락장에서도 수익을 낼 수 있는 숏 포지션 전략은 모든 트레이더가 반드시 알아야 할 기술입니다.
경험이 많지 않더라도 걱정하지 마세요. 이 가이드를 통해 바이비트 선물거래의 기본부터 효율적인 거래 전략까지 차근차근 배워보겠습니다. 시작해볼까요?

바이비트-선물거래-방법-7가지-수수료-절약-노하우-효율적인-숏-진입-전략

바이비트 선물거래 방법

바이비트 플랫폼에서 선물 거래를 진행하는 방식을 간편하고 상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비트코인에 대한 숏 포지션을 실제로 설정하면서 과정 중에 등장하는 전문 용어들을 하나하나 설명하는 형태로 글을 구성하겠습니다.

1. 바이비트 가입하기

우선 바이비트 계정을 만들기 위해 아래의 가입 링크를 통해 접속하세요.

이 인플루언서 링크를 통해 가입하시면, 평생 거래 수수료 20% 할인과 보너스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2. 자금 이체하기

바이비트 웹사이트 상단에 있는 ‘Assets(자산)’ → ‘Assets Overview(자산 개요)’를 클릭합니다.

바이비트-선물거래-방법-1

이후 ‘Transfer(전송)’ 버튼을 눌러주세요.

바이비트-선물거래-방법-2

Spot(현물) 계정에서 Derivatives(파생상품) 계정으로 USDT를 이동시킵니다. 저는 예시로 100 USDT를 전송하겠습니다.

바이비트-선물거래-방법-3

Assets(자산) → Assets Overview(자산 개요) → Derivatives(파생상품)로 이동하면 전송한 USDT 금액이 정상적으로 이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이비트-선물거래-방법-4

3. USDT 선물거래 마켓 진입

이제 비트코인 선물 시장에서 숏 포지션을 생성해보겠습니다. 상단 메뉴에서 Derivatives(파생상품) → USDT Perpetual(USDT 무기한) → ‘BTCUSDT’를 선택합니다.

바이비트-선물거래-방법-5

포지션을 설정하기 전에 펀딩비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펀딩비(Funding Rate)는 시장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우세한 측에서 열세인 측으로 지급되는 금액입니다. 펀딩비가 음수일 경우, 숏 포지션은 규모의 -0.014%를 거래소에 지불하고, 롱 포지션은 규모의 -0.014%에 해당하는 금액을 거래소로부터 받게 됩니다. 양수인 경우는 그 반대로 진행됩니다.

바이비트-선물거래-방법-6

격리(Isolated)를 선택한 다음, Long 3x, Short 3x 옵션을 고르고, Market(시장가)을 체크한 후, Order by Qty(수량으로 주문)에 체크표시를 하고 수량을 100%로 입력한 다음 ‘Open Short’ 버튼을 클릭합니다. 처음 포지션을 설정할 때는 청산 가격이 고정되는 격리 방식으로 진행하겠습니다.

바이비트-선물거래-방법-7

  • 격리(Isolated)는 포지션을 열 때 증거금을 고정하는 방식입니다.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마진 추가/제거’ 옵션을 통해 증거금을 조정하지 않는 한, 청산 가격은 변동되지 않습니다.
  • 교차(Cross)는 선물 계좌에 보유한 자금을 증거금으로 사용하여 포지션을 개설하는 방식입니다. 이 경우 계좌 내 잔액이 변동될 때마다 청산 가격도 함께 변경됩니다.
  • 지정가(Limit)는 국내 거래소의 지정가 주문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트레이더가 희망하는 특정 가격을 직접 입력하여 주문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 시장가(Market)는 국내 거래소의 시장가 주문과 동일한 역할을 합니다. 현재 시장에서 형성되어 있는 가격으로 즉시 주문이 체결되는 방식입니다.
  • 수량 주문(Order by Qty)은 포지션을 설정할 때 수량을 기준으로 주문하는 방법입니다. 가격 주문(Order by Cost) 옵션을 선택할 경우에는 USDT 금액을 기준으로 포지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트레이더는 자신에게 편리한 방식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 TP/SL 기능은 포지션을 생성할 때 목표 가격(Take Profit)과 손절 가격(Stop Loss)을 미리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Sell Short with TP/SL’ 버튼을 누르면 관련 설정창이 표시되며, 롱 포지션의 경우 ‘Buy Long with TP/SL’ 버튼을 클릭하면 같은 방식으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바이비트-선물거래-방법-8

P는 Take Profit의 약자로, 쉽게 말해 익절 가격을 의미합니다. 포지션을 설정하면서 특정 가격에 도달했을 때 자동으로 포지션을 종료하는 주문을 생성하는 기능입니다. 일반 지정가로 설정해도 익절이 가능한데 이 기능을 활용하는 이유는, 예를 들어 $21,500에 숏 포지션을 잡았을 때, 시간이 흐른 후 Last Traded Price(최근 거래 가격)가 내가 정한 가격($20092.5)에 도달하면 그 시점에 포지션을 종료하는 시장가(지정가) 주문이 실행되기 때문에, 급격한 하락장이 발생할 경우 설정한 가격보다 더 낮은 가격에서 추가 이익을 볼 가능성이 있습니다.(물론 반대로 이익이 줄어들 가능성도 있습니다)

반면 SL은 Stop Loss의 약자로, Take Profit과 반대 개념입니다. 비트코인 선물 가격이 설정한 손절 가격($23762.5)에 도달하면 그 시점에 시장가(지정가) 주문이 실행됩니다. 마찬가지로 손실이 줄어들거나 증가할 수 있습니다.

아래로 페이지를 약간 스크롤하면 ‘Position’탭을 볼 수 있습니다.

바이비트-선물거래-방법-9

BTCUSDT Isolated 3.00x는 비트코인 선물을 USDT를 담보로 격리(Isolated) 방식을 적용하여 3배 레버리지로 포지션을 설정했다는 뜻입니다.
포지션 규모(Qty)는 -0.013 BTC, 즉 286달러 가치의 포지션을 의미하며, 앞에 마이너스(-)가 표시된 것은 숏 포지션임을 나타냅니다.
진입 가격(Entry Price)은 평균적으로 포지션을 설정한 가격을 의미합니다.

현재 가격(Mark Price)은 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을 뜻하며, 이 가격이 청산 가격에 도달하면 포지션이 강제로 종료되고 모든 증거금을 상실하게 됩니다. 오더북에서 거래되는 가격과 약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재 가격(Mark Price)은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산정됩니다.

현재 가격(Mark Price) = 지수 가격(Index Price) × (1 + Funding Basis)
이때 Funding Basis는 현재의 펀딩 비율과 펀딩비 정산까지 남은 시간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청산 가격(Liq. Price)은 포지션이 강제 청산되는 가격을 의미하며, Mark Price가 이 수준에 도달하면 포지션이 자동으로 청산됩니다.

증거금(Position Margin)은 포지션을 유지하기 위해 투입된 자금을 나타냅니다. 연필 아이콘을 선택해 테더(USDT)를 추가하면 청산 가격이 올라가 포지션 유지가 안정적이 되며, 반대로 테더를 인출하면 청산 가격이 내려가 청산 위험성이 증가합니다.

미실현 손익(Unrealized P&L)은 현재 포지션에서 발생 중인 손익을 보여주며, -0.1169 USDT는 현재 손실 상태임을 나타냅니다. 또한, -0.12%는 손실 비율을 의미하며, 현재 자본 대비 손실 정도를 보여줍니다.
포지션 우측 끝에 Close By라고 표시된 영역 아래쪽의 ‘Limit(지정가)’를 클릭해보겠습니다.

바이비트-선물거래-방법-10

Closing Price(종료 가격)과 Closed Qty BTC(종료 수량)을 설정하고 ‘Confirm’을 누르면 주문이 실행됩니다. 국내 거래소의 지정가 종료 방식과 동일합니다.

바이비트-선물거래-방법-11

이때 ‘Post-Only’ 기능을 활성화하면 지정가가 아닌 경우 주문이 실행되지 않습니다. 롱 포지션의 예를 들면, 100원에 구매한 코인의 현재 시장 오더북 거래 가격이 150원일 때, Post-Only를 체크하고 120원에 지정가(Limit) 매도를 시도하면, 원래는 150원 미만으로 시장가 체결이 이루어지지만, Post-Only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아예 주문 자체가 취소됩니다.

만약 지정가(Limit) 대신 Market(시장가) 버튼을 선택하고 아래와 같이 수량을 입력한 후 ‘Confirm’을 누르면 즉시 시장가로 포지션이 종료됩니다.

바이비트-선물거래-방법-12

4. Inverse 선물거래(1배숏) 마켓 진입

테더(USDT)와 같은 스테이블 코인 대신 BTC, ETH 같은 가격 변동성이 있는 자산을 담보로 선물 포지션을 설정하는 거래를 의미합니다. 1) 보유 중인 현물 자산의 헷지 2) 펀딩비 매매 등을 목적으로 Inverse 선물 시장을 활용합니다.

리플 Inverse 시장에서 거래하기 위해, 현물 시장에서 XRP를 구매해보겠습니다. 상단 검색창에 ‘XRP/USDT’를 입력하고 ‘XRP/USDT Spot’을 선택합니다.

바이비트-선물거래-방법-13

    담보금으로 활용할 리플(XRP)을 300개 정도 구입해보겠습니다. ‘Buy XRP’ 클릭

    바이비트-선물거래-방법-14

    우측 상단 메뉴에서 ‘Asstes’ → ‘Assets Overview’ → ‘Transfer(이체)’ 선택합니다.

    바이비트-선물거래-방법-15

    Spot(현물)에서 Derivatives(파생상품)로 XRP 코인을 299.7개 이동시켜 보겠습니다. 처음에 300개를 구매했으나 수수료로 0.3개가 차감되었습니다.

    바이비트-선물거래-방법-16

    상단 메뉴로 이동하여 Derivatives(파생상품) → Inverse Perpetual → ‘XRPUSD’ 선택합니다.

    바이비트-선물거래-방법-17

    Isolated(격리), 1x(1배)를 설정하고 Market(시장가)을 선택한 다음, 수량을 100%로 입력하고 ‘Sell / Short’ 클릭합니다.

    바이비트-선물거래-방법-18

    페이지를 아래로 스크롤하면 다음과 같이 포지션이 생성되어 있습니다. USDT 마켓과 다른 추가적인 요소만 설명드리겠습니다.

    바이비트-선물거래-방법-19

    청산 가격(Liq. Price)이 31.1426달러로 높게 설정된 이유는 현물 XRP를 담보로 사용하여 1배 레버리지로 선물 시장에서 XRP 숏 포지션을 설정했기 때문입니다. 이런 구조에서는 가격이 상승할 경우 현물 보유분에서 수익이 발생하고, 반면 숏 포지션에서는 손실이 발생합니다. 반대로 가격이 하락하면 현물에서는 손실이 발생하지만, 숏 포지션에서는 수익이 발생하여 전체 자산 가치가 보존됩니다.
    미실현 손익(Unrealized P&L)은 인버스(Inverse) 마켓에서는 담보로 제공된 XRP의 수량 변동을 통해 표시됩니다. 만약 숏 포지션을 유지하는 상황에서 가격이 상승하면 담보로 등록한 XRP의 수량이 감소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XRP의 수량이 늘어납니다. 이는 일반적인 USDT 선물과 차이점이 있으며, USDT 선물에서는 손익이 테더(USDT) 수량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많은 투자자들이 혼란을 겪을 수 있는 부분입니다.
    이제 시장가(Market) 주문을 선택하여 포지션을 종료하겠습니다.

    바이비트-선물거래-방법-20

    바이비트 수수료

    1. 현물(Spot) 거래 수수료: 바이비트 일반 사용자 기준으로 현물 거래의 기본 수수료는 0.1% (메이커와 테이커 모두 동일)입니다.
    2. 선물(Futures) 거래 수수료: 선물 거래의 기본 수수료는 일반 사용자 기준으로 메이커 0.02% 및 테이커 0.055%입니다.

    바이비트는 회원 등급에 따라 차등적인 수수료를 적용합니다. 회원 등급은 일반 사용자(VIP 0)에서 시작하여 VIP 5를 거쳐 최상위 등급인 슈프림 VIP까지 나뉘어 있습니다. 각 등급마다 메이커와 테이커 수수료가 다르게 적용되며, VIP 등급이 상승할수록 수수료 할인 혜택이 커집니다.